건축

[스크랩] 압출법과 비드법의 장단점

fiat 2011. 12. 2. 18:06

자. 단열재 1편에서 말한대로 차근차근 개념을 정립하기로 하자.

 

단열재 2편에서는  비드법과 압출법의 차이를 보자.

(근데, 차이를 구별하기 전에 한가지는 확실히 하고 넘어가자.

 압출법은 아이소 핑크다. 맞는가 틀리는가?

 정답은 틀리다.

 하지만, 아이소 핑크는 압출법이 맞다.

 즉, 압출법에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있고, 아이소 핑크는 압출법의 일종일 뿐이다.)

 

한국 공업 규격.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KS(M)-3808

 

1. 적용범위 : 이 규격은 사용온도 70℃이하의 보온.보냉에 사용하는 폴리스티렌을 발포시켜
                   만든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판 및 보온통(이하 보온판 및 보온통이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이건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

 

2. 종      류 : 종류는 제조 방법 및 품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는 밀도와 그것에 따른
                                                     열 전도율의 대, 소 및 굽힘, 압축강도, 흡수량 등의
                                                     특성에 따라 다음 표 1과 같이 구분한다.
 

표 1. 비드법 팔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종류
 

종    류

보 온 판

1 호

보 온 통

1 호

2 호

2 호

3 호

3 호

4 호

-

    2)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는 압축강도, 굽힘강도
                                                     및 열 전도율의 대, 소에 따라 다음 표 2와 같이 구분한다.
 

표 2.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종류
 

종   류

보 온 판

특 호

보 온 통

1 호

1 호

2 호

2 호

3 호

3 호

-

 
이것 역시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
 몇호까지 있는지 그정도만 알아놓자.
 

3. 제조방법

    1)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 비드법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구슬모양 원료를 미리
                                                     가열하여 1차 발포시키고 이것을 적당한 시간 숙성 시킨 후
                                                     판모양, 통모양의 금형에 채우고 다시 가열하여 2차 발포에
                                                     의해 융착, 성형하여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2)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 압출법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원료를 가열, 용융하고
                                                     연속적으로 압출, 발포시켜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정확히 차이점이 뭔지 -_- ;; 이것도 통과!

 

4. 품      질

    1) 비드법(겉모양) : 제품은 표면의 입자 사이가 견고하게 융착되고 평평한 면을 형성하며
                               또 제품을 쪼개어 갈라진 면을 보았을 때 되도록 입자가 2개로 갈라지고
                               작은 입자의 접착면이 직접 눈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한다.

    2) 압출법(겉모양) : 제품은 균일한 다수의 미세 독립기포로 구성되며 표면은 평평한 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3) 비드법(특성) : 보온판 및 보온통의 특성은 표3과 같다.
 

표 3. 비드법 보온판 및 보온통의 특성

종류

밀도
kg/m³

열전도율
(평균온도 20±5℃) kcal/m*h*℃{W/mK}

굽힘강도
kgf/cm²
{N/cm²}

압축강도
kgf/cm²
{N/cm²}

흡수량
g/100cm²

연소성

(참      고)
투습계수
(두께 25mm당) g/m²*h*mmHg
{ng/m²*s*Pa}

보온판

1호

30이상

0.032{0.036}
이하

3.5{35}
이상

1.6{16}
이상

1이하

3초 이내에 불꽃이 꺼져서 찌끼가 없고, 연소 한계선을 초과하여 연소하지 않을 것.

0.07{146}
이하

2호

25이상

0.032{0.037}
이하

3.0{30}
이상

1.2{12}
이상

0.10{208}
이하

3호

20이상

0.034{0.040}
이하

2.2{22}
이상

0.8{8)
이상

0.12{250}
이하

4호

15이상

0.037{0.043}
이하

1.5{15}
이상

0.5{5}
이상

1.5이하

0.14{292}
이하

보온통

1호

35이상

0.031{0.036}
이하

3.0{30}
이상

-

두께 30mm미만 2이하
두께 30mm이상 1이하

-

2호

30이상

0.031{0.036}
이하

2.5{25}
이상

3호

25이상

0.032{0.037}
이하

2.0{20}
이상

 

    4) 압출법(특성) : 보온판 및 보온통의 특성은 표4와 같다.
 

표 4. 압출법 보온판 및 보온통의 특성

종류

압축강도
kgf/cm²
{N/cm

굽힘강도
 kgf/cm²
{N/cm²}

열전도율(평균온도 20±5℃)
kcal/m*h*℃(W/m*℃)

연 소 성

보온판

특호

2.5{25}
이상

4.5{45}
이상

0.023{0.027}
이하

3초 이내에 불꽃이 꺼져서 찌끼가 없고, 연소 한계선을 초과하여 연소하지 않을 것.

0.07{146}
이하

1호

1.8{18}
이상

3.5{35}
이상

0.024{{0.028}
이하

2호

1.4{14}
이상

3.0{30}
이상

0.025{0.029}
이하

3호

1.0{10}
이상

2.5{25}
이상

0.027{0.031}
이하

보온통

1호

1.8{18}
이상

3.5{35}
이상

0.024{0.028}
이하

-

2호

1.4{14}
이상

3.0{30}
이상

0.025{0.029}
이하

3호

1.0{10}
이상

2.5{25}
이상

0.027{0.031}
이하

    같은 호의 열전도율을 비교해 보자.

    어때? 어떤것이 같은 호에서 열전도율이 좋은가?

    단열재는 열전도가 잘되는게 좋은가, 안좋은가?

   

    보온판 1호를 비교해 보자.

    비드법은 0.032 이하

    압출법은 0.024 이하.

    압출법이 열전도율이 낮고, 단열효과가 크다.

    보온판 2호는

    비드법은 0.032 이하

    압출법은 0.025 이하

    이번에도 역시 압출법이 열전도율이 낮고, 단열효과가 크다.

   같은 압출법에서도 1호가 가장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정리하자면

   단열효과가 좋은것은.

   압출법 > 비드법

   1호>2호>3호 라는 얘기다.

 

    개념 정리가 됐습니까?

    모든 지식은 체계화 될때, 이해도 쉽고 머릿속에도 오래 남는다.

    자. 다음 3편에서는 이 지식들을 서로 유기화 시켜 단열재 규격이 현장 여건에 맞는지

    검토할 수 있는 단열재에 관한 최고봉의 지식을 정립하도록 하자!

 


 

 

이 포스트를..

덧글 3개 NEW 엮인글 1개 공감 1개

출처 : 눈사람의 블로그
글쓴이 : 눈사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