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단열재 1편에서 말한대로 차근차근 개념을 정립하기로 하자.
단열재 2편에서는 비드법과 압출법의 차이를 보자. (근데, 차이를 구별하기 전에 한가지는 확실히 하고 넘어가자. 압출법은 아이소 핑크다. 맞는가 틀리는가? 정답은 틀리다. 하지만, 아이소 핑크는 압출법이 맞다. 즉, 압출법에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있고, 아이소 핑크는 압출법의 일종일 뿐이다.)
한국 공업 규격.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KS(M)-3808
1. 적용범위 : 이 규격은 사용온도 70℃이하의 보온.보냉에 사용하는 폴리스티렌을 발포시켜 이건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
2. 종 류 : 종류는 제조 방법 및 품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는 밀도와 그것에 따른
2)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는 압축강도, 굽힘강도
3. 제조방법 1)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 비드법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구슬모양 원료를 미리 2)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 압출법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원료를 가열, 용융하고 정확히 차이점이 뭔지 -_- ;; 이것도 통과!
4. 품 질 1) 비드법(겉모양) : 제품은 표면의 입자 사이가 견고하게 융착되고 평평한 면을 형성하며 2) 압출법(겉모양) : 제품은 균일한 다수의 미세 독립기포로 구성되며 표면은 평평한 면을 3) 비드법(특성) : 보온판 및 보온통의 특성은 표3과 같다.
4) 압출법(특성) : 보온판 및 보온통의 특성은 표4와 같다.
같은 호의 열전도율을 비교해 보자. 어때? 어떤것이 같은 호에서 열전도율이 좋은가? 단열재는 열전도가 잘되는게 좋은가, 안좋은가?
보온판 1호를 비교해 보자. 비드법은 0.032 이하 압출법은 0.024 이하. 압출법이 열전도율이 낮고, 단열효과가 크다. 보온판 2호는 비드법은 0.032 이하 압출법은 0.025 이하 이번에도 역시 압출법이 열전도율이 낮고, 단열효과가 크다. 같은 압출법에서도 1호가 가장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정리하자면 단열효과가 좋은것은. 압출법 > 비드법 1호>2호>3호 라는 얘기다.
개념 정리가 됐습니까? 모든 지식은 체계화 될때, 이해도 쉽고 머릿속에도 오래 남는다. 자. 다음 3편에서는 이 지식들을 서로 유기화 시켜 단열재 규격이 현장 여건에 맞는지 검토할 수 있는 단열재에 관한 최고봉의 지식을 정립하도록 하자!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복층유리 단가표 (0) | 2012.11.06 |
---|---|
[스크랩] 균열보수시공 및 방수시공사례 (0) | 2012.09.23 |
리모델링 (0) | 2009.10.29 |
[스크랩] 분당아파트 분당주상복합 분당파크뷰 파크뷰 파크뷰아파트 평형 평면도 (0) | 2009.10.20 |
[스크랩] 새 아파트 `숨겨진 구조` 잘 봐야 후회 안해요 (0) | 2009.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