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차음구조
1. 공동주택 소음의 종류
a.공기 전파음(air-borne sound) : 공기를 통해전파되는 음
벽체의 면밀도(단위면적당 질량)에 좌우되며 두께120㎜ 정도의 콘크리트 벽체라면 투과손실 45dB의 성능을 지니기 때문에
공기전파음에 대한 차음문제는 현재의 시공방법으로도 충분히 해결가능함.
b.고체 전파음(structure-borne sound) : 구조체를 통해서 전파되는 음
구조체전달음, 특히 상하층세대간에 발생하는 바닥충격음은 전파성향이 공기전파음과 달라 바닥재에 진동절연구조를 시공해야하며
이는 현재의 시공방법 및 바닥구조방식으로는 필요한 성능을 만족하기어려운 실정임.
2. 바닥충격음
a.정의 : 고체전달음중 상하층세대간 발생하는 바닥충격음은 거주자의 보행, 물건의 낙하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때
바닥슬래브, 천정, 또는 벽체를 통해서 인접실(주로 아래층) 에 방사되는 음이다.
b.종류 : 소음원에 따라 두가지로 나뉜다.
경량충격음 : 물건의 낙하음, 가구이동음과 같은 고주파 대역 발생음.
중량충격음 : 거주자의 보행이나 뜀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저주파 대역 발생음.
3.부위별 시스템 검토
a.바닥 온돌 시스템
슬래브 두께를 두껍게 할 수록 차음성능은 좋아지나 현실적으로는 어려울 것이므로 기존의 온돌바닥 시스템에서
완충재를 추가하여 차음성능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가야할 것으로 사료됨.
반습식 뜬바닥구조에 대한 학회논문이나 업체의 자료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느정도 참고사항은 되나 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
추후 현장에서 MOCK-UP후 TEST하여 차음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완충재를 선택시공해야 할 것임.
b.세대간 경계벽
세대내 간막이 벽에 비해 차음 성능이 매우 중요한 부위이므로 중량과 공사비면을 고려하여 선정요함.
최근 고층 철골조아파트의 세대간벽,욕실,주방,Duct,등 소음에 대한 집중검토가 필요함.
c.세대내 간막이 벽
차음성능면에서는 다소 불리하나 시공성/공사비 면에서 dry-wall을 일반적으로 적용함.
다만 욕실,주방,Duct 등에는 흡수율,차음성을 고려한 재료가 요구됨.
4.슬래브 두께,면적과 중량충격원에의한 차음등급
-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
자료출처: 인터넷 서핑중 담아온 자료 www.cyworld.com/jinstar7725/5205482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건설 관련법 모음 (0) | 2012.11.12 |
---|---|
[스크랩] 부동산 관련법 모음 (0) | 2012.11.12 |
[스크랩] ?배수판 (0) | 2012.11.07 |
[스크랩] 복층유리 단가표 (0) | 2012.11.06 |
[스크랩] 균열보수시공 및 방수시공사례 (0) | 201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