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건축공사 공종별 시공매뉴얼

fiat 2017. 4. 8. 18:05

     

첨부파일 시공매뉴얼.hwp

파일항타 공사

 

1. 본항타 착수전 시항타 작업을 시행하여 문제점 파악 및 해결방안 강구

 

2. 작업을 위한 소운반 포함이며, 말뚝에 손상을 주지 않게 운반하여야 하며,

손상시 즉시 장외 반출토록 한다.

 

3. 말뚝을 박는 동안 인접 말뚝이 솟아오는 것을 측정하여 올라온 경우 원래의 타격보다

큰타격을 가하여 원지점 이하의 길이에 오도록 다시 박는다.

 

4. 두부 정리시 윗끝면을 평평하게 정다듬하며, 철근은 소정의 정착 길이만 남겨두고

나머지를 절단한다.

 

5. 작업자는 말뚝의 타격일시, 타격 소요시간, 타격회수, 관입깊이, 관입량 기타 말뚝박기

작업시기 등을 기입하여 당사에 제출한다.

 

6. 두부 정리한 PILE 잔재는 최대지름 10㎝ 이하로 파쇄 처리한다.

 

7. 정산방법 : 파일의 반입 길이로 한다. (단, 관공사는 발주처 산정기준에 준한다)

단, 시공비는 항타 근입 길이로 한다.

 

8. 파일항타시 수직도 측정용 무게 중심추 기둥을 2개소 이상 설치하여 수시확인 점검한다.

 

9. 별도의 기술적 사항은 관련 시방서 조건에 준한다.(시험 및 재하시험등)

 

 

토 공 사

 

1. 토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당현장에 인접건물 피해 및 지하매설물(전기, 가스, 상․하수도,

통신 CABLE 등)에 대하여 사전 매설위치 파악 및 교육실시.

- 이전 복구에 대한 인허가 사항

- 피해보상 및 원상복구 협력업체 책임

- 주요 발견품은 당사에 이양할 것

 

2. 지질조사보고서에 의한 굴착장비계획의 수립 및 실지공사에서 확인된 토질과 비교검토

 

3. 인접건물 피해 및 주요 민원사항에 대한 대처방안 수립 및 공법검토

 

- 소음, 진동, 분진, 기타사항 ( 일요일 및 휴일 작업 가능성 여부등 )

- 인접건물의 파손, 지반침하, 누수 CRACK 및 붕괴, 기타 피해사항에 대한 배상 및

원상복구의 책임

- 인접건물 피해자 요구시 안전진단비 포함

- 협력업체는 암 발파 및 어스앙카 동의서 당사에 제출 (비용은 협력업체 부담)

 

4. 공종에 따른 작업한계

 

- 터파기 : 굴토 및 상차, 운반, 야적에 필요한 장비사용 일체포함

- 잔토처리 : 상․하차 및 운반, 버림비 및 장비사용 일체포함,

사토장확보(현장에서의 거리 및 교통량 확인)

- 되메우고다지기 : 되메우기에 필요한 토량운반(상․하차 포함) 또는 현장적치 및 다짐,

평탄작업에 필요한 장비사용 일체 포함

- 우수 및 지하수 처리시설 포함(양수포함)

- 토공사 수행을 위한 도로보수 및 필요시 안전시설 포함

(안전표지판, 신호수, 교통정리요원, 발파시 통제요원)

- 본공사 수행을 위한 바닥고르기 및 다지기 포함

 

5. 현장에 투입되는 모든 장비 및 차량은 반드시 종합보험에 들어 있어야 하며, 보험가입

사본을 접수한다.

 

6. 장외 반출되는 운반장비, 차량의 적정 세륜시설 및 장비를 결정하고, 협력업체는 설치된

시설 및 장비를 이용하여 완벽한 세차 및 진입도로 청소를 한다.

 

7. 가설동력 및 용수 계획수립

 

8. 토공사 작업 기간중 우기와 연관될 경우 지표 유입수의 처리 계획수립.

 

9. 터파기 작업시 수시로 구조물 위치를 MARKING하여 정확한 터파기가 되도록 한다.

 

흙막이 공사

 

1. 흙막이 공사 SHOP DWG. 은 아래 사항을 철저히 확인 반영 한다.

1) GL ±0 지점의 표기 및 유지 관리 (3개소 이상 중장비 통행로를 피하여 설치)

2) 바닥 마감 LEVEL의 정확성.

3) 독립기초, PIT 및 집수정등 추가 터파기 부위의 정확한 표기.

4) 지하층 R.C.공사 층고에 따른 옹벽 끊어치기 부위와 띠장의 간섭(철근이음길이확보)

5) 띠장 및 STRUT와 바닥 CON'C LEVEL의 이격 거리는 최소 1200MM이상 확보.

6) POST PILE 위치는 기둥, 보, 옹벽, 계단실 등의 주요 구조부를 피할 것.

7) 복공판 면적 계획시 골조 공사용 자재 적치 및 장비 진입에 따른 소요 면적 확보.

2. H-PILE 과 띠장의 설계규격 철저 준수

 

3. 대공보링 장비는 인근 민원발생 가능성을 판단하여 장비결정에 신중을 기한다.

 

4. 토류판 재질은 미송으로 두께 75m/m 이상이며, 설계기준 두께이상을 사용한다.

 

5. 시공 도중 H-PILE 및 토류판 사장되는 것에 대하여 견적제출시 제시하지 않은 사장분에

대해서는 별도로 인정치 않는다.

 

6. 장마 혹은 비에 대한 수방 대책으로 수방용 비축자재(양수기, 비닐, 마대, 삽 등)를 현장

에 비치하며, 호우 경보 발령시에는 협력업체와 같이 24시간 비상 근무체제를 갖춘다.

 

7. 계측관리는 지하구조물 완료시까지 실시한다.

 

8. 대공 보링작업시 수직도 확인을 위한 무게 중심추 기둥을 2개소 이상 설치하여 수시 확인한다.

 

9. C.I.P, J.S.P, LW 등의 공사를 위한 현장 PLANT 설치위치 등을 사전 검토 확정한다.

 

10. 토류판 설치시 합벽구간 형틀공사용 매립 ANCHOR의 필요성을 판단 하고, 필요시 재질 및

규격을 확정하여 토류판 설치 작업시 동시 매설한다.

 

부대토목 공사

 

1. 부대토목공사 착수전 도로굴착허가 신청을 관할관청(시.구청)에 필한다.

 

2. 전기, 가스, 통신, 상하수도 관로의 매립위치를 확인한다.

 

3. 포장도로 복구에 관한 계획을 사전 수립한다.(관할관청에 비용납부로 갈음 할수있음)

 

4. 각 종 맨홀 및 맨홀 점검구의 용도별(오수,우수,통신,가스 등) 구매한다.

 

5. 매설관로 및 연결부는 시공전․중․후의 사진 촬영후 대관업무에 대비한다.

 

6. 대지 경계선의 구조물은 인접건물 건축주 또는 그 대리인과 직접 현장 확인후 시공한다.

 

7. 부대 토목공사 시행전 건축허가 조건을 재확인하여 대관업무에 대비한다.

 

형 틀 공 사

 

1. 거푸집 설치에 따른 먹메김 작업후 기준 LEVEL 및 각종 치수를 검측.

 

2. 판넬 설치전 판넬청소 및 폼오일 도포작업

 

3. 옹벽,기둥 형틀 설치시에는 수직,수평 검측을 수시로 실시하고 철근 SPACER 재점검한다.

보 및 SLAB 형틀은 LEVEL 및 경사도를 확인한다.

 

4. 시공잘못으로 인한 CON'C 면의 할석, 미장작업 및 청소는 발견 즉시 시행한다.

 

5. 동바리 설치는 수직도 확인을 철저히 하고 간격은 SLAB;1200MM이하, 보;900MM이하로 하며 CON'C 타설시 편심이 걸리지 않게 등분포 설치 및 수평고정용 보강 ST'L PIPE를 설치한다.

 

6. 마감도면에 명시된 각종 스리브, 박스 제작설치작업 철저.

 

7. 일일작업 완료후 잉여가설재 및 자재정리.

 

8. 매층 마다 건축물의 수직도 유지를 위한 기준점 인양용 스리브를 직각방향으로 3개소 설치

하여 다림추 확인후 먹매김 작업을 한다.

 

9. 전기, 설비도면 검토 및 담당자와 협의후 기계기초 설치.

 

10. 정화조의 개구부 및 스리브는 정화조 업체와 협의(SHOP DWG. 접수)후 SIZE 및 설치위치

(높이)를 정확히 시공

 

11. 지하수위 이하의 외부옹벽 이어치기 부분은 수팽창 지수제 사용원칙(설계변경 반영)

 

12. 지하층 외부옹벽의 공간 쌓기 하단은 R.C. 방수턱 형틀을 설치하여 SLAB CON'C 타설시 동시 타설이 되도록 한다.

 

13. 화장실 바닥 LEVEL은 FL-100 이 되도록 한다.

 

14. CON'C 타설전 기둥 및 옹벽부위의 각종 오물 제거하여야 하며, 청소를 위한 청소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15. 지하 외벽 결로수 방지대책 수립 및 유도 배관(PVC. 󰍋25) 시공.

 

16. 창호형틀의 하부형틀은 CON'C 타설전 형틀내부 공기배출을 위한 배기 구멍을 DRILL로

뚫어야 한다.

 

17. 협력업체 시행사항

- 각종자재의 인양 및 내리기 포함

- 구내운반비 포함(차량, 인건비)

- 콘크리트 할석 및 찌꺼기 청소 포함

- 화목류 반출 포함

- 세퍼레이터 및 면목 설치 (자재포함)

- 단열재(스치로폴, 아이소핑크 등) 설치 (자재지급)

- 구내정리비 포함(판넬류, 각재류, 악세사리 등)

당사 시행사항 : 폐기물처리, 양수작업

 

18. 동바리용 STEEL SURPPORT는 안전공단의 성능검정을 필하고 “(안)”마크가 색인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19. 최상부층(옥상바닥) 시공시 배수방향을 고려하여 구조체 구배를 2% 이상 시공한다.

 

20. 배수 DRAIN은 형틀작업시 DRAIN의 바닥 LEVEL이 바닥 CON'C. LEVEL이하가 되도록 구배를

주어 선시공 한다.

 

21. 보의 중앙부 SURPORT는 20MM정도 높여서 설치한다.(처짐방지)

 

22. CANOPY 및 발코니 등의 물끊기 홈은 면목 또는 합성수지제품을 사용하여 단부에서

50㎜ 안쪽에 설치하고 못박기 간격은 300㎜ 이하로 하여 뒤틀림을 방지한다.

 

23. 계단실 천장등의 견출 마감인 면의 형틀은

1) 형틀재는 내수합판 T12를 사용한다. (코팅합판 및 일반합판 사용금지)

2) 합판은 신재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1회에 한하여 재사용 가능하며, 표면의 들뜸등 훼손 부위가 없고 이물질 청소 및 박리제 도포를 철저히 하여 CON'C면의 품질을 확보한다.

3) 모서리 단부는 면목(15*15)을 설치하여 모서리 면접기 및 직선 시공의 품질을 확보하 고, 면목 설치시 못박기 간격은 300MM 이내로 한다.

 

 

 

24. 각종 DOOR 및 창호 등의 개구부 여유폭은 1면당 20MM 이내가 되도록 하고 수직,수평 및 LEVEL검측을 철저히 한다.

 

 

 

 

*. 표 ; 현장 점검 허용 오차

구 분

항 목

허 용 오 차

수 직

측 벽

6MM이내

복도 , 발코니

6MM이내

벽, 기둥

6MM이내

수 평 거 리

벽, 기둥, 보

3M당 6MM

평 탄 성

SLAB

천 정

6MM이내

바 닥

6MM이내

개 구 부 오 차

외부 (상,하,좌,우)

15MM

내부

20MM

직 각 오 차

 

90°±3MM

이 음 턱 오 차

 

3MM

 

 

 

 

 

 

 

 

 

 

철 근 공 사

1. 철근의 가공 및 조립

1) 기초 및 지중보;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여 가공조립한다.

기둥 X,Y 방향 (단변,장변) 착오가 없도록 유의한다.

2) 기둥; 이음 중심 위치는 기둥높이의 ⅔ 이하부에 두도록 한다.

3) 보 ; 이음 중심 위치는 상부근-중앙 L/2, 하부근-단부 L/4이내(L:스판 길이)

4) 벽체; 철근의 핏치(PITCH)및 피복두께를 유지한다.(실내마무리 有 : 2CM, 無 : 3CM)

벽과 벽의 접합부는 상대벽 내부로 벽의 중심선을 넘어 구부려 정착 시킨다.

옹벽 마구리는 폐쇄형 띠철근 및 폭 고정근을 설치한다.

각 종 개구부의 코너 부위는 보강철근을 배근하여야 하며, 규격 및 수량은

코너당 HD13, L:900, 6본(1단배근일 경우 3본)으로 한다.

5) SLAB; 철근의 PITCH, 피복두께, 정착길이를 유지한다.

개구부 주위 보강을 설계도에 준해 철저히 시공한다.

6) 계단; 계단 철근은 벽 중심 바깥쪽까지 충분히 정착시킨다.

2. 이음

1) 이음의 위치는 응력이 가장 큰곳을 피하고 같은 위치에 편중되지 않도록 한다.

2) 철근 결속은 교차부마다 하는 것이 원칙이나 경미한 부분은 하나 걸러 엇갈리게 결속.

3) 철근 이음은 1개소마다 2군데 이상 2겹으로 감아 결속

*. 부위별 SPACER 수량

위 치

SLAB

기 둥

설치수량

상단 : 1개/M2

하단 : 2개/M2

0.7개/M2

옆면 : 3M 1개소

밑면 : 2M 1개소

보통높이

1변에 3개소

*. 점검허용오차

항 목

허용오차(MM)

가공치수

스트럽 띠철근, 나선철근

± 5

위 이외의 철근

이형철근 D25 이하

± 15

이형철근 D29이상 ~ D41이하

± 20

가 공 후 전 길 이

± 20

CON' C 공 사

1 타설전 점검사항

1) 타설 당일의 천후, 기온 예보를 확인

2) 각종 매설물을 점검한다 (건축,설비,전기등)

3) 철근 조립상태 확인, SPACER 탈락 확인 보완.

4) 거푸집(옹벽하부등) 청소상태 및 물뿌리기 (동절기에는 금함)

5) 타설장비(펌프카, 바이브레이타, 삽, 흙손 등) 준비상태 점검

 

2 타설방법 및 주의사항

1) 타설은 낮은곳에서부터 기둥, 벽, 계단, 보, 바닥판 순으로 하며 레미콘차로부터 먼

곳, 건물구석부터 시공한다.

2) 타설시 자유낙하거리는 될수있는대로 짧게하고 1.5M이하로 한다.

3) 옹벽등의 타설시 직접 타설은 피하고 SLAB등에서 흘러가도록 유도 한다.

4) 타설장소의 편중, 과대높이, 과속등을 검토하여 타설한다.

5) 가수는 절대 금지한다 (가수발견시 해당차량 장외반출)

6) 공장 배합 후 타설 시간은 기온 25℃ 미만일 경우 120분, 25℃ 이상일 경우

에는 90분 이내로 하고 시간 초과 차량은 SLUMP 시험등의 확인후 결정한다.

7) 진동기(Vibrator)의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 이동간격은 60CM 정도로 하고 수직으로 삽입하고 15~30초 정도

진동시킨다.

-. 콘크리트 표면에 PASTE가 떠오를 정도까지 다짐을 한다.

-. 경화 시작후 응결전 콘크리트는 진동을 시켜서는 안된다.

-. 진동기는 비상시를 대비하여 예비분을 항상 준비한다.

 

3 이어치기시공방법

1) 수평이어치기 부위는 콘크리트 표면정리 물청소 실시후 타설한다.

2) 이어치기는 가능한 적게하고 이어치기시 수평, 수직으로 정확히 절단후 LAITANCE 등

의 제거를 철저히 한다.

3) CANTILEVER는 이어치기를 해서는 안된다.

4) 방수에 유의할 부위는 이어치기를 지양한다.

5) 일반적인 기둥, 보, SLAB, 벽의 이어치는 위치는 아래 표와 같다

구 분

위 치

기 둥

보, 바닥판 또는 기초윗면

SPAN의 1/2 - 1/4 부근

슬 래 브

SPAN의 중앙 또는 1/3 - 1/4

개구부등 끊기좋고 이음자리 막이 제거가 용이한 SPAN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설치

 

4 서중, 한중 CON'C 시공법

1) 서중CON'C ; 타설기온이 30℃ 이상이거나 일 평균이 25℃ 이상일때

-. 연속적으로 타설하고 가급적 빨리 종료시킨다.

-. 혼합개시로 부터 90분이내 타설완료 (레미콘)

-. 부어넣을때의 온도는 35℃ 이하를 유지한다.

-. 콘크리트에 접하는 부분은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 필요시 보양막을 덮고 살수하여 습윤상태 유지

2) 한중CON'C

가) 보 온

외기온도 4℃ ~ 1℃ 천막지 덮기

1℃ ~ 0℃ 부직포 덮기

0℃ ~ -3℃ 건물외부 보온막설치, 급열 장치가동

-3℃ 이하 콘크리트 타설금지

나) 콘크리트 타설

-. 보온에 필요한 비닐, 천막지, 난로, 연료, 온도계등 확인

-. 최저기온이 영하로 예상될때 타설 1시간전 급열 장치가동

 

5 콘크리트 품질관리

1) SLUMP 시험

-. 시험빈도 - 배합이 다를때 마다 1일 1회이상

-. 허용오차

슬럼프(CM)

슬럼프의허용오차(MM)

8 미만

± 1.5

8이상 18이하

± 2.5

18 초과

± 3.5

2) 공기량 시험

-.시험빈도 - 1일 1회이상

-.허용치

콘크리트의 종류

공기량의 허용오차(%)

일반콘크리트

± 1.0

경량콘크리트

± 1.5

3) 강도시험

-. 시험빈도 : 배합이 다를때마다 콘크리트 타설량 150M3마다

-. 강도시험 합격판정기준

7일 강도 : 설계기준 강도 65% 이상

28일강도 : 설계기준 강도 이상

 

 

철 골 공 사

 

1. 부재의 중량 및 설치 위치등을 고려하여 인양, 설치 장비를 결정한다.

 

2. 볼트체결 작업시 무소음 공구를 적용한다.

 

3. 철골제작 및 가공은 공장에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현장에 반입 되는 모든 부재는 길이 및 규격 검수를 철저히 한다.

 

5. 철골 SHOP DWG. 검토시 작업자의 이동 통로 (가설 사다리 설치) 확보.

 

6. 철골용접후 방사선 검사 및 각종 TEST 는 시방서에 의하여 철저히 한다.

(단, 검사기준은 R.T, U.T 5% 기준임)

 

7. 현장에 투입되는 장비 및 차량은 반드시 종합보험(대인, 대물보상)에 가입할 것.

 

8. TEST 에 불합격품은 즉시 장외 반출시키고, 신자재를 반입해야 한다.

 

9. 표면처리는 특기 시방서에 준하여 밀 스케일을 제거한다.

 

10. 광명단의 재질은 특기시방서에 준한다.(공장에서 실시하고, 설치 작업중 DAMAGE 부분은

즉시 보수해야 한다.)

*. 녹막이 칠을 하지 않는 부분

-.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분

-. 현장 용접 부분 ( 용접부에서 50MM이내)

-. 조립에 의해 맞닿는 부분

-. 고력 볼트 마찰 접합부의 마찰면.

11. 현장 가공 및 세우기는 다음 순서에 의한다.

ANCHOR BOLT설치 ▶ 철골 세우기 ▶ 가조립 ▶ 변형(수직,수평) 바로잡기 ▶ 본조립

▶ 검사 ▶ 도장

 

12. 고장력 BOLT접합시 주의 사항

-. 볼트 체결은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한다.

-. 볼트군의 체결력은 장력의 80%정도의 전 체결을 한다.

-. 볼트 머리와 너트에 접하는 부재의 표면은 볼트 축의 수직한 면에 대하여 1/20 이상의

경사를 가져서는 않된다.

-. 고장력 볼트의 장력 검사수는 볼트수의 10% 이하, 볼트군당 1개이상 실시한다.

-. 접합 부분의 두께의 차로 생긴 1MM이상의 틈새는 필러를 넣어 보강 한다.

13. 용접시 주의 사항

-. 수축 변형 및 마무리를 고려 하여 칫수에 여유를 둔다.

-. 영하의 기온에서는 용접 작업 중지, 0~15℃일때는 부재를 36℃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접

-. 용접으로 모재에 균열이 생긴때는 모재를 교체한다.

-. 용접 검사 ( 3회)

용접전 ; 청소상태, 모재 개선 상태

용접중 ; 전류상태, 용접 속도 및 자세

용접후 ; 육안 검사, 초음파 탐상법, 침투 탐상법, 방사선법.

-. 용접시 발생되는 가스로 인하여 용접공의 중독 및 혼수 상태로 인하여 추락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 하기 위하여 방독면 또는 공기 정화기 착용후 용접실시.

14. BASE PLATE 하부의 EPOXY 또는 무수축 MORTAR GROUTING은 빈 틈이 없도록 충진 한다.

 

※ 사전검토 및 준비서류

1) 견적서 (공종별, 비목별)

2) 시공계획서

3) 공정표 (제작 및 가설공정표)

4) 검사 기록부 작성도

5) SHOP DRAWING

6) 가설전기 용량 검토 ( 현장 가동 전기 공구 용량 검토 )

조 적 공 사

 

1. 벽돌쌓기

1) 간벽쌓기는 도면에 표시가 없는한 상층 CON'C 밑바닥면까지 쌓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천장속 미장하지 않는곳은 빈틈없이 사춤하여 기밀하게 시공한다.

2) 교차부의 벽돌 물림자리를 공정상 부득이 낼때는 한켜 걸름으로 1/4 ~ 1/2 들여쌓고 하루

일이 끝나면 반드시 들여쌓기 부분의 몰탈은 깨끗이 가셔내야 한다.

3) 추후 들여미는 벽돌에는 사춤몰탈을 충분히 밀어넣어 빈틈없게 시공한다.

4) 모서리 쌓기시에는 특히 내부에 통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쌓고 또한 가능한한 토막벽돌이

생기지 않도록 벽돌 나누기를 잘하고 사춤몰탈도 충분히 한다.

5) 일일 작업후 바닥청소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몰탈제거)

6) 콘크리트와 접하는 부위 조적 쌓기용 긴결 철물은 @600 이하 간격으로 설치 한다.

7) 교차부와 모서리 쌓기시에는 #8 철선으로 매 3단마다 보강 시공한다.

8) 웃인방은 도면에 표기가 별도 없더라도 P.C 또는 현장제작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개구부

폭이 2.4M 까지는 양끝에서 20㎝ 이상, 폭이 2.4M 이상되는 곳은 양끝에서 40㎝ 이상

걸치도록 한다.

9) 방수층 보호벽돌쌓기는 방수층의 손상없이 쌓고 벽돌과 방수층 사이는 빈틈없이 몰탈을

채운다.

10) 개구부의 위치 및 설치폭의 정확성 유지 (개구부 폭은 1면당 도면치수 + 20㎜ 로 한다)

13) 가로, 세로 줄눈 너비는 10㎜를 표준으로 한다.

16) 붉은 벽돌의 백화현상 방지대책 수립 및 발수제 도포 작업을 시행한다.

18) 칸막이 벽체의 장 SPAN 쌓기는 매 5M 이내마다 EXP. JOINT를 설치한다.

200mm이상

인방보 20mm이하

개구부

F.L. + 1,000 기준먹선

F.L.

20mm 이하 20mm이하

*. 조적공사 착수전 CON'C. 옹벽 및 기둥에 FL.+1000 LEVEL 기준 먹선을 설치한다.

 

2. CON'C 블록쌓기

1) 보강블럭은 통줄눈을 원칙으로 하며, 세로근을 D10 @800 간격으로 이음없이 상하부의

보에 정착시키고 사춤 CON'C을 채운다.

2) 가로근은 매3단마다 #8 블록매쉬를 사용하여 보강하며 블록매쉬 규격을 블록 두께별로

사용한다.

3) 줄눈 너비를 가로 세로 각각 10㎜로 한다.

4) 벽체의 장 SPAN 쌓기시에는 매 5M 마다 EXP. JOINT를 시공한다.

5) 개구부 연결철물이 있는 경우 블록 속채움을 철저히 시행한다.

 

 

 

 

 

 

 

 

 

 

 

 

 

 

 

 

 

 

 

 

 

 

 

 

 

방 수 공 사

 

1. 모든 자재는 SAMPLE을 확보하여 자재 반입시 검수 하여야 한다.

(방수액, SHEET, EPOXY, 아스팔트 등)

 

2. 바탕면의 균열은 보수후 시공하여야 하며, 모체에 건조균열이 진행중이라고 인정되는곳

또는 방수층에 결함이 생길 우려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대책을 수립후 시공한다.

 

3. 바탕의 돌출물제거 및 구배상태를 점검한다.

 

4. 조인트 부위 또는 계단 스텐레스 파이프, 배수용 파이프 주위는 별도 실링제로 사전도포

완벽한 시공이 되도록 한다.

 

5. 방수 공사 후 담수시험은 반드시 실시하고, 누수 검사 완료 후 청소한다.

 

※ 액체방수

 

1-1. 바탕처리

바탕면에 부착된 흙, 먼지, 모래, 자갈, 지푸라기 등을 제거. 물씻기 등의 방법으로

완전히 청소 건조후 방수공사 실시때 곰보판 등의 빈틈, 이어치기 개소나 균열이

있을 경우 V형으로 따내고 몰탈은 별도 충진한다.

 

1-2. 공정

액체방수는 2차 방수로 하며,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1차 공정

1) 모체 콘크리트면의 불량부분과 이물질의 노출부분등을 완전히 파취 제거하고

곰보와 수축이나 침하작용등으로 발생한 바탕의 균열부분을 파취하여 콘크리트

몰탈로 정리한다.

2) 지하층에서 용수 또는 누수가 심할시 먼저 지수급결방수 시공을 한다.

3) 제1차 물청소. 바탕의 건조 및 강도 점검과 보완

4) 시멘트풀 방수시공 (시멘트풀 방수액 혼합)

5) 침투방수액칠

6) 시멘트페이스트(곤죽풀) 바르기 (방수몰탈의 접착작용 겸용)

7) 보호방수몰탈 바르기

 

 

2차 공정

8) 보호몰탈 면의 양생 및 물청소

9) 제2차 시멘트풀 방수시공

10) 침투방수액 칠

11) 시멘트페이스트(곤죽풀) 바르기

12) 보호방수몰탈 바르기

13) 양생

 

방수몰탈

방수제와 시멘트몰탈을 혼합하여 모체의 표면에 발라 방수하는 공법으로 물리적,

화학적으로 모체의 공극을 메우고 수밀하게 하며, 배합비 및 바름두께는 방수

제혼합비와 같이한다.

 

아스팔트 방수(8층)

1. 아스팔트 방수는 기온 습도등의 영향이 크므로 습기찬 흐린날씨나 서열,

한냉시기를 피하여 시공한다.

2. 방수층의 바탕은 청소정리하고 부실한 시공 결손부분등은 완전히 보수한 다음

도면의 표기가 있을때에는 시멘트 몰탈(배합비 1:3)을 두께 15㎜ 이상으로 평탄

하게 쇠흙손으로 바르며 귀 모서리는 지름 50㎜ 이상의 둥근면으로 발라 아스팔트

및 아스팔트 휄트의 부착이 잘되게 한다. 고름 몰탈은 단가에 포함.

3. 루핑휄트의 끝의 겹침은 10㎝ 이상이어야 한다.

4. 루핑 및 휄트가 직각으로 굽어지는 부분은 지름 50㎜ 이상의 둥근면이 이루어

지도록 시공 접착한다.

5. 각층의 폭 이음부분은 상하층이 각각 서로 30㎝ 이상 엇갈리게 이음이 오도록

깔아야 한다.

6. 지붕층 8층 아스팔트 방수는 아래 순서로 시공한다.

1) 지붕바닥 고르기 (필요시)

2) 아스팔트프라이머 도포 1회

3) 브라운 아스팔트 1회

4) 25㎏ 아스팔트 휄트 1회

5) 브로운 아스팔트 1회

6) 30㎏ 아스팔트 휄트 1회

7) 브라운 아스팔트 1회

8) 30㎏ 아스팔트 루핑 1회

9) 브라운 아스팔트 1회

7. 펠트, 루우핑의 접합부 방향은 물흐름 방향으로 한다.

8. 아스팔트 방수층의 들뜸 부분은 열십자로 절개후 아스팔트를 부어 밀착시키고

그 위에 동일계 재료로 10㎜ 이상씩 보강 붙임을 한다.

9. 아스팔트 가마는 시공장소와 가까운 장소에 설치하고 SLAB 또는 방수층위에 설치한

때는 벽돌을 25㎝ 이상 두께로 쌓아 열을 차단시키며 화재시를 대비하여 소화기를

비치한다.

 

SHEET 방수(8층)

1. 방수층의 바탕은 청소정리하고 부실한 시공 결함등은 완전히 보수한 다음 바탕고름

몰탈을 두께 15㎜ 이상 평탄하게 쇠흙손으로 마감한다.

2.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충분히 건조된 후 후속작업에 들어가야 한다.

프라이머 도포시기는 바탕면이 완전 건조된 후 시공한다.

3. 바닥과 수직벽면의 연결부분은 바닥에 깔려있는 SHEET를 10㎝ 이상 수직벽면으로

올려 붙이고 수직벽면의 SHEET는 바닥으로 10㎝ 이상 덮어지도록 마감 처리한다.

4. SHEET 상호 연결부분은 10㎝ 이상 겹치도록 하고 물흐름 방향에 따라 아래쪽에서

부터 깔아 올라가면서 이음매 부분이 동일선상에 일치하지 않도록 접착한다.

5. 옥상층 및 램프등 SHEET 방수 시공부위는 누름 CON'C 타설시 방수공을 대기시켜

방수층의 손상이나 손상된 부분을 확인 보수후 시공이 되도록 한다.

 

에폭시 방수작업시 안전사항

1. 작업자의 질식등에 대비하여 환풍구는 2개소 이상으로 하고 강제환기장치를 설치한다.

2. 화재등을 대비하여 소화기를 작업장내에 비치한다.

3. 작업책임자는 수시로 작업자들의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4. 작업원중 1명 이상은 반드시 작업장외부에서 작업자들을 관찰한다.

미 장 공 사

 

1. 바름두께는 도면에 준하되 특기가 없을시에는 표준시방서에 준한다.

(바닥 : 24㎜, 내벽 : 18㎜, 천장 : 15㎜)

 

2. 시멘트 몰탈접합이 어려울 경우 적절한 방법으로 다소 거칠게 하거나 몰탈 접착제를 사용

접착이 잘되게 하여야 하며, 면이 건조한 부분은 물 뿌리기 등으로 습윤케 한 뒤 미장하여야

한다.

 

3. 시멘트 몰탈바르기에 사용하는 몰탈 배합비는 표준시방서에 준한다.

 

4. 이질구조체의 접합부는 JOINT BEAD를 설치하여야 한다.

 

5. 바닥미장은 기계미장을 원칙으로 하고, 타설은 펌프타설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바닥미장

후 벽체미장 완료까지는 바닥면 보양을 철저히 한다.

 

6. 바닥 미장시 타공종의 손상이 없도록 틈새 충진 및 비닐등으로 보양을 철저히 시행한다.

 

7. 벽체 미장작업시 천장마감선 또는 커텐 BOX 마감선에서 100㎜ 상부까지 시공하여야 한다.

 

8. 들뜸, 크랙, 기포, 수평도 불량 등 시공부실로 인한 하자는 즉시 재시공 한다.

(수평도 확인은 길이 2000 이상의 AL 수평자로 확인한다)

 

9. 하절기 미장 작업시에는 급격한 경화로 인한 크랙 및 들뜸현상 방지를 위하여 경화지연

혼화제를 적정량 배합하여 시공한다.

 

10. 몰탈배합시 반드시 배합용 철판 및 드럼통을 사용한다.

 

11. 벽 및 천정 작업후 바닥에 떨어진 몰탈은 깨끗이 청소한다.

 

12. 장 SPAN 의 조적 벽체 미장작업시에는 매 5M 마다 치장줄눈을 설치한다.

 

13. 각종 출입문 상부 벽체 작업시에는 DOOR FRAME LINE을 따라 천장상부까지 치장줄눈을 설치.

 

14. 옥상 무근 CON'C 타설시에는 1.5M 이내 간격으로 EXP.JOINT를 설치한다.

 

15. 실내 무근 CON'C 타설시에는 기둥주위의 다이아몬드형 치장 줄눈을 설치한다.

 

16. 실내 무근 CON'C 타설시에는 2.5M 이내의 간격으로 치장줄눈을 설치한다.

 

17. 바닥 미장 및 무근 CON'C. 타설전 LEVEL기준몰탈 OR LEVEL봉을 가로 세로 3M이내 간격으 로 1개소씩 설치하여 바닥면의 평활도를 확보한다.

기포콘크리트 공사

 

1. 기포콘크리트 타설공사는 바닥 단열재 공사이므로 설비 위생배관이 마무리된 후, 작업에

착수한다.

 

2. 기포콘크리트 타설전 바닥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물을 약간 뿌리고 난후 타설을

시작한다. (접착력 증가)

 

3. 기포콘크리트 타설 공사중에 발생할 수 있는 선행 공정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양 작업을 철저히 한후 타설 한다.

 

4. 시공에 정밀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기능공 투입시는 숙련된 기능공만을 현장에 배치하여

바닥의 수평상태를 정확히 한다.

 

5. 현장내 반입되는 약품에 대해서는 샘플 및 카다로그를 접수, 검토하여 품명 및 수량을

확정한다.

 

6. 타설후 양생 완료시까지 보양을 실시하여야 하며, 타작업원의 보행 및 출입을 금지 한다.

 

7. 타설전 레벨 마킹 작업을 시행하며 필요시 중앙부에 LEVEL MORTAR를 설치 한다.

견 출 공 사

 

1. 작업 착수전 SAMPLE 시공후, 품질 정도 및 문제점 해결 방안을 강구 한후 본작업에 착수

한다.

 

2. 기둥 및 천장 등에 위치한 P.V.C CONE(기타 : 못, 철선, 거푸집조각, 면목)을 제거하여야

하며, HOLE을 충진후 시행한다.

 

3. CON'C 면의 조인트부분의 수정부분은 할석 및 그라인딩 또는 미장등으로 면을 고르게

한 뒤 시행하여야 하며, 완료후 점검 및 승인을 득한 뒤 후속작업을 착수한다.

 

4. 모든 면의 색상은 미시공부위와 동일 색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5. 작업시 바닥이 오염 되지 않도록 부직포, 비닐등으로 보양하며, 작업후 바닥면 청소를 철

저히 한다.

 

6. 몰탈비빔등이 발생시 철판 및 드럼통 등을 사용하여 바닥의 오염을 방지한다.

 

7. 시멘트 PASTE는 배합비를 균일하게 하고, 1회 반죽량은 1시간 사용량 이하로 하여야 하며,

매회 사용시 재반죽하여 사용한다.

 

8. 외부 CON'C. 옹벽의 CONE 구멍은 BACK-UP 코킹 처리한다.

 

9. 계단 천장면 등의 돌출 코너부는 그라인딩 또는 미장등으로 코너 면처리를 철저히 한다.

하 드 너 공 사

 

 

1. 시공조건

1) 최종마감면의 한계 구배오차 ±3㎜ MAX

2) 시공 JOINT에 대한 처리는 콘크리트 타설시 일단 각목등으로 콘크리트 유동을 방지한

다음 HARDCRETE 시공이 끝난 직후 곧바로 각목을 제거하고 기둥의 중심선에 맞추어

캇팅을 해놓는다.

3) 다음 이어치기 시공시에는 기존 시공부분에 대한 콘크리트물이나 HARDCRETE가 오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하며, 시공 JOINT 의 구배에 맞추어 깨끗한 시공이 될 수 있도록

한다.

4) 전 바닥공정이 끝난 1주일이내에 시공 JOINT 및 EXPANSION JOINT에 대한 캇팅을 한다.

5) 캇팅부분의 SEALING 처리는 완전양생후에 처리하며 폴리우레탄계 코킹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6) 시공전후 후로어 드레인이 막히지 않도록 철저히 보양 시공하여야 한다.

 

2. 시공순서

1)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전 하지면의 청소는 깨끗이 해야하며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2) 콘크리트의 타설에 있어 한 구획에 대한 연속작업을 진행하여 시공조인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3)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의 구배대로 골재가 수밀하게 분포되도록 평활하게 나무흙손을

이용 초벌 마무리 한다.

4) 초벌 마무리를 한 후 곧바로 HARDCRETE를 골고루 살포한다.

5) HARDCRETE 분말이 하지면의 수분을 흠뻑 흡수하게 되면 다시 나무흙손질을 하여 일정한

두께가 형성되도록 한다.

6) 발자국이 나지 않을 정도로 표면이 건조되면 POWER TROWEL FINSHER로 1차 마감을

한 다음 쇠흙손을 이용하여 같은 종방향이 되도록 최종 평탄 마무리를 한다.

 

3. 양생

마감이 끝난 바닥은 최소 24시간이 경과될 때까지는 물을 뿌리거나, 출입을 해서는 안된다.

 

타 일 공 사

 

1. 시공도에 따라 모르터 마감된 면에 수직 수평으로 먹줄을 띄어 타일나누기를 하여야 하며,

타일은 온장으로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바닥타일은 시공도에 따라 수평 및 물흘림경사를 철저히 잡고 규준먹줄을 치고 가장자리

또는 중간요소에 수평실을 치고 모르터를 바르며 규준대 밀기를 한 다음 나무흙손으로

눌러 바르고 타일을 붙인다.

 

3. 코너 부분에 조각타일이 생길 경우 전체 SIZE를 등분하여 최소한 온장칫수의 1/2 칫수

이하를 만들지 않도록 한다.

 

4. 바닥 보양은 색이 배어나오지 않는 톱밥을 사용하여야 하며 완전히 건조된 톱밥을 고루

펴서 보양하여야 한다.(단, 보양자재는 당사지급)

 

5. 특기 사항이 없는 한, 벽 타일 줄눈과 바닥 타일 줄눈은 일치 시켜 시공한다.

 

6. 외장타일 시공면의 모서리, 개구부 주위는 타일줄눈 나누기등을 선행하여 미장공사에 지장

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7. 벽타일 붙이기는 천장 LEVEL 상부로 100MM이상 시공한다.

 

8. 몰탈 배합시는 철판 또는 드럼통을 사용하여 바닥면의 오염을 방지한다.

 

9. 타일의 절단 또는 구멍 뚫기에는 기계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10. 줄눈은 내부벽, 바닥, 창문선, 문선등 개구부 둘레와 설비 기구류와의 마무리 줄눈나비는

동일한 폭으로 시공한다.

줄눈나비표준 : 대형외장타일 9㎜, 대형내장타일 6㎜, 소형내장타일 3㎜, 모자이크타일 2㎜

 

11. 치장줄눈은 타일을 붙인후 3시간이 경과한 때 줄눈파기를 하고, 줄눈부분을 충분히 청소

하여 24 시간 경과한때 붙임모르터의 경화 정도를 보아 치장 줄눈을 하되 작업직전에 줄눈

바탕에 물을 뿌려 습윤케 한다.

 

 

12. 외부타일 붙임인 경우에 일광의 직사 또는 풍우 등으로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곳은

비닐시트 등, 적절한 것을 사용하여 보양한다.

 

13. 타일을 붙인후 경화시까지 진동이나 보행을 금한다.

 

14. 치장줄눈 작업이 완료된 후 타일면에 붙은 불결한 것이나 모르터, 시멘트풀등을 제거하고

솔이나 헝겊 또는 스폰지 등에 물을 축여 타일면을 깨끗이 하여야 한다.

 

15. 접착제 사용시는 시공후 용제로서 깨끗이 청소한다.

 

16. 떠붙임 공법 적용시 붙임 몰탈은 100%로 충진한다.

 

17. 벽체의 돌출 모서리 부분은 PVC 타일 몰딩을 시공한다.

 

18. 창문 및 DOOR FRAME 주위의 타일 줄눈은 6MM를 기준으로 시공하며, 타일 마감면과 창문

및 DOOR FRAME 마감 면과는 10MM 단차이를 두어 마감 코킹 작업시 삼각 코킹 시공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코 킹 공 사

 

1. 실링재는 시공성이 좋고 접합부에 외력이 작용할때도 신축성이 우수한 제품이어야 한다.

 

2. 열팽창계수가 큰 METAL 접합주위는 충분한 규격(10MM이상)으로 시공하고 접착력, 신축율,

내구성, 내후성, 접합부위 재질에 따라 용도에 적합한 자재를 선정한다.

 

3. CON'C 면, 타일면, SASH 면의 접착력 증강을 위하여 먼지, 불순물등 접착 장애물을 완전히

제거한다.

 

4. 삼면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질의 폴리에칠렌 발포제를 BACK UP재로 사용한다.

 

5. 마스킹테이프를 붙여서 깨끗이 시공한다.

 

6. 작업면은 수분이 제거되고 완전 건조상태에서 시공한다.

 

7. 실링재와 피착면과의 공백을 없애고 잘 피착되게 하기 위하여 줄눈규격에 맞는 주걱과

BACK UP 재를 사용하여 표면에 요철과 굴곡이 없이 깨끗이 마무리 하여야 하며 기포도

생기지 않아야 한다.

 

8. 시공후 양생 테이프를 제거하고 끝손질 청소는 타공종 작업분에 대한 오염방지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시행한다.

 

9. 비, 눈이 오거나 시공중 비, 눈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시공을 중단하여야 한다.

 

10. 욕실에 사용하는 SEALING 재는 내 곰팡이성 실리콘계를 사용한다.

내 장 목 공 사

 

1. 목재 천정틀에 사용되는 미송각재 규격은 아래 규격이상을 사용하여야 하며, 고정은

반자틀 앙카 혹은 목심을 이용하여 고정하되, 석고보드는 300㎜ 간격으로 스텐못으로

고정하며 시공 완료후 처짐이 발생하여서는 안된다.

- 달대무 천정틀 : (45×36)

- 달대유 천장틀, 박공 천정틀 : (45×36)

 

2. 우물 천정은 4.5t 합판으로 하며, 몰딩은 라왕을 사용하여야 하고 규격 및 모양은

SAMPLE 또는 도면(SHOP DWG.) 기준으로 제작 시공한다.

 

3. 석고보드 이음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철저히 마감처리 한다.

 

4. 천정틀의 정확한 각재 간격은 450×450을 원칙으로 한다.

 

5. 반자틀 앙카 및 목심은 각재간격에 맞추어 SLAB CON'C 타설전에 설치하여야 한다.

 

6. 천정몰딩은 이음새가 있어서는 아니되고 정확한 수평을 유지하여 시공한다.

 

7. 커텐박스 및 몰딩, 재료분리대(주방벽)는 SAMPLE 기준으로 시공한다.

 

8. 천정점검구는 기성제품으로 한다.

 

9. 마루귀틀은 수직, 수평을 맞추어 바닥미장 시공 하루전 까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10. 건식틀 제작은 콘크리트 벽체와 일치하게 제작 설치하여야 하며, 내부는 암면으로 밀실히

충진하여야 한다.

 

11. 습기가 많은 곳의 목재는 방부제 처리를 시공한다.

칸 막 이 공 사

 

1. 밤라이트 공사

1) 사 양 : 밤라이트 (3.2㎜) 양면마감 (페인트 제외)

2) 양면(3.2㎜ 밤라이트) 내부에 하니캄 폐파코아를 충진하여 (THK 50㎜) 판넬을 제작하여

시공한다.

3) 판넬과 판넬이음 부분은 알미늄 조이너 지정 형태를 사용하여 연결시킨다.

4) 벽, 상부, 하부 챤넬, 도아후렘은 (1.2t) 갈바나이즈 철판을 사용하여야 한다.

5) 모든 챤넬 및 부속 철재는 우레탄 방청도료를 마감하여 시공한다.

 

2. 스틸 칸막이 공사

1) 사 양 : 12㎜ 집섬보드위 0.5t 갈바나이즈 위 (소부)도장

2) 양면 12㎜ 석고보드위 0.5㎜ 갈바나이즈를 사용하여 THK 50㎜ 판넬을 제작지정색(소부)

도장으로 시공 설치한다.

3) 하부 챤넬은 1.2㎜ 이상 철판을 사용하여 수평 조절 CAP 으로 바닥의 오차를 해결하여

완전 매입시킨다.

4) 판넬의 이음부분은 알미늄으로 사용하되 알미늄이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 매입한다.

5) 상부챤넬 및 유리 FRAME 은 알미늄 BAR를 사용하고 지정색 분체도장으로 마감하여 현장에

반입 시공한다.

6) 유리FRAME은 피스나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유리설치후 코킹으로 마감한다.(유리, 코킹포함)

7) 벽체 마감은 상부 SLAB 바닥까지 골조를 마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9) DOOR 주위는 반듯이 보강하여야 한다.

 

 

 

 

 

 

 

3. 화장실 칸막이 공사 (큐비클 시스템)

1) 사 양 : 나무라이트 양면(4㎜) 내수합판 (12㎜)

2) (4㎜) 마감판은 우레탄도료 계통인 나무라이트를 사용하여 내부에12㎜ 내수합판을 넣어

압축한 복합판을 사용한다.

3) 마감색상은 승인된 SAMPLE에 의한다.

4) 노출되는 모든 MOULDING 은 (SUS COLOR AL.)으로 사용한다.

5) 부속 스텐레스 스틸은 SUS #304 (27종) THK 1.0㎜을 가공하여 사용한다.

6) 바닥 고정앙카는 방수층에 손상이 없도록 하고 칼라코트를 충진한다.

7) 각종 부속품은 센딩처리(반무광) 공정을 거친후 니켈크롬도금된 제품을 사용한다.

8) 치장 CAP 은 SUS #304(27종) 재질로 하고 상부에 보호 고무링을 부착된 것으로 한다.

9) 모든 출입문 및 부속 자재일절 포함으로 한다.

(도어 보호대 2개소, 도어스톱, 옷걸이, 도어록(잠금쇠), 기타)

 

4. DRY WALL 공사

1) 사 양 : 도면 및 특기시방서에 준한다.

2) 내화성능에 관한 규정은 소방법 및 관련법의 각종 규정을 사전 검토하여 적법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3) 지정하는 장소에 SAMPLE 시공을 하여야 하며, 모든 공사를 이 SAMPLE 시공에 준하여 시공한다.

4) STUD는 K.S 제품으로 하여야 하며, 설치간격은 450㎜ 이하 기준으로 한다.

5) 석고보드 취부용 나사못은 접시머리못을 사용한다.

6) 석고보드 붙이기 높이는 상부층 SLAB 까지 설치하며 내화 피복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7) CORNER BEAD 및 CONTROL JOINT 의 길이는 이음새가 없도록 1본으로 설치해야 한다.

8) DOOR 주위는 반드시 보강하여야 한다.

9) 모든 개구부(창호등) 및 ACCESSORY (세면대 등) 설치를 위한 보강작업을 한다.

10) 석고보드 면의 마감이 도장공사일 경우 반듯이 면처리가된 테이퍼드 석고보드를 취부한다.

천 정 공 사

 

 

1. 천정공사의 TEX 나누기 및 시공상세도를 포함한 SHOP DWG.을 사전 검토, 승인한다.

 

2. 천장TEX 취부전, 우수등의 유입수 차단을 철저히 강구하여 이로 인한 TEX의 손상이 발생되

지 않도록 한다.

 

3. AL. 몰딩설치시 전기 드릴 등을 사용하여 벽마감재료에 손상이 없게 시공하여야 한다.

 

4. 경량천정공사의 달대는 아연도금된 달대로 시공한다.

 

5. 전등, 스피커등 기전시설을 설치 할때는 천장 개구부 주위의 보강을 철저히 하여야 하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설치물에는 별도의 ANCHOR를 묻어서 ANGLE로 용접 연결하여 제반시설

들을 안전하게 설치 하여야 한다.

 

6. 커텐 BOX 등의 현장 용접시에는 기시공된 마감자재(유리, AL.등)의 보양을 철저히 하여

마감재의 훼손을 방지한다.

 

7. 현장용접 부위는 완료후 즉시 방청 PAINT 마감처리 하여야 한다.

철 재 창 호 공 사

 

 

1. 재 료

1) 철판은 냉간 압연철판을 사용하며 평탄하고 구멍 레미네이션(LAMINATION)이 없어야 한다.

2) 철문속의 인슈레이션은 GLASS WOOL을 사용하되 비중은 50㎏/㎥ 이상이어야 한다.

3) 철판 두께는 도면에 의한다.

 

2. 제 작

1) 문틀은 현장에 견고히 부착하여 문을 여닫는 충격에 견디도록 하여야 한다.

2) 도장은 공장에서 (소부)도장 지정색을 마감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단, 광명단은 KSM 5311 2종 2회 FRAME은 광명단 마감후 설치

3) 도아록 도아 크로져가 부착되는 부위는 100×300×1.0㎜ 철판으로 견고히 보강하여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3. SHOP DWG. 및 견본품

1) 형태 및 치수는 도면을 따르되 제작과정에서부터 설치까지의 필요한 모든 사항으로 치수,

규격, 색상, 두께, 재료의 접속방법등을 발주후 7일이내 제시하여 승인을 받고 제작에

들어가야 한다.

 

4. 시 공

1) 틀세우기 및 창호 달기는 수직, 수평상태를 철저히 점검한다.

2) 현장 설치 작업전 창호 틀주위 모르터 사춤은 밀실하게 시행하고 양생이 완료된후 건립한다.

3) 각 실의 용도에 적합하게 DOOR SEALING 재 설치여부를 확정한다.

(소음 및 유해가스 확산방지)

4) 시공후 여닫음 및 밀폐상태를 확인하여 보수, 보완한다.

5) 콘크리트면에 접하는 부분은 ANCHOR로 접합 시공한다.

 

알 미 늄 창 호

 

 

1. 가공 및 제작

1) 창문틀 및 부재의 접합은 정확하고 견고히 부착하고 모임부분을 평활히 마무리 해야 하며

견본을 제작, 검토하여야 한다.

2) 창문틀 및 보강재 등에 질이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촉 부식이 일어나지 않게

처리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3) 콘크리트 시멘트 몰탈에 접합하는 부분은 내알카리성의 도료를 2회이상 칠하여야 한다.

4) 알미늄 SASH 조립시 JOINT 부분이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우수의 침투방지 및 유입수 처리를 고려하여 SHOP DWG. 반영한다.

 

2. 공작도 및 견본품

1) 발주후 7일이내 형태 및 치수는 도면을 따르되 현장에 맞추어 제작 도면 및 견본품을

제시하여 승인을 득한후 제작하여야 한다.

2) 도면에는 제작과정에서 부터 설치완료까지의 필요한 모든 사항으로 치수, 규격, 색상,

두께, 재료의 접속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

 

3. 틀세우기 및 보양

1) 틀세우기 및 창호달기는 협력업체 부담으로 한다.

2) 틀주위 몰탈사춤은 현장에 반입후 시멘트:모래 (1:3)의 된비빔 모르터를 사춤하고

틈서리가 나지 않게 쇠흙손으로 눌러 바른후 양생이 완료된후 건립한다.

4. 반 입

1) 완성된 제품은 운반 및 공장생산시 외부에 손상방지 및 시멘트와 알미늄과의 화학반응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출되는 부분을 포리에치렌 양면필름 종이로 감싸주고

콘크리트에 접합되는 부분은 접착테이프를 붙인다.

2) 시공중 긁힘 등으로 도장면 손상시 보수할수 있는 보수용 PAINT를 반입한다.

AL. 커 텐 월 공 사

 

1. 창호제작 및 설치공사에 있어서 현장조건과 맞는 규격의 제작도면과 각 부분 보강방법등의

공작도를 창호 제작전에 작성하고 모든제품의 견본품을 제출하여 색, 마무리, 외관, 치수,

형상 및 기구등을 감독원의 승인을 받는다.

 

2. 주자재 및 부자재는 특기시방서 규정준수를 원칙으로 하고, 그 외의 모든 것은 K.S 제품을

사용한다.

 

3. 재 료

1) 알미늄 후레임

- 규격 : 폭, 길이의 규격은 도면에 따르며 추후 구조계산 및 MOCK-UP TEST 결과에 의한다.

- 색상 : 지정색 (2 COATING 기준)

2) 나사 (SCREW)

외부노출 SCREW는 스텐레스 TYPE SUS-304 종을 사용하여 부식이 없도록 해야 하며, AL BAR

색상과 동일하게 도장하여야 한다.

 

4. ST'L 보강제

알미늄 후레임은 필요에 따라 보강할 수 있으며, 보강재의 재질은 아연도금 처리한 후

사용한다.

 

5. 긴결재 (FASTENER)

FASTENER의 표면처리는 아연도금처리된 것을 사용, 두께, 폭, 길이의 규격은 도면에 따른다.

 

6. 알미늄 표면처리 : PVF 2 COATING 또는 도면과 특기시방서에 따른다.

 

7. 내화성능 : 보 스라브등의 주요 내화부재에 커텐월을 고정시키는 부재는 강재로 접합시켜야

하며, 알미늄이 녹아도 그 부재는 녹거나 탈락하지 않도록 한다.

 

8. 조립 및 가공

- 커텐월의 모든 부재는 허용오차 범위의 한도내에서 승인된 도면 및 시방서에서 규정한

재료, 규격, 두께 및 기타 시방서에 적합하여야 한다.

- 표면에 노출된 일체의 부재에 대한 가공은 시각적이고도 구조적으로 결함이 없도록 실시

하며 누수가 되지않는 구조로서 정확한 치수와 강도를 유지 하도록 하여야 한다.

- 모든 철재는 표면에 나타나지 않는 부분이라도 적절한 도장을 한다.

- 누수방지를 위하여 모든 절단면에 SEALANT 처리를 한다.

 

9. 포장 및 운반

완성된 제품은 비닐 보호막으로 개별포장하여 출하하고 운송도중에 파손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운반용 적재를 목재로 제작보호 운송한다. 운반, 시공중 찍힘 등의 AL. 손상이

발생시에는 즉시 교체 시공한다.

유 리 공 사

 

1 일반점검사항

1) 유리의 종류별, 규격별, 소요량을 파악한다.

2) 유리의 두께가 설계 규격과 동일한가를 검토한다.

3) 판유리의 절단은 유리홈안 치수보다 적게 절단 했는지 검토한다.

4) 유리는 면이 고르고 변형, 얼룩, 기포등이 없는지를 점검한다.

5) 유리의 고정은 흔들림이 없는가를 검토한다.

 

2 재료 및 시공

1) 보통 판유리는 KSL2001규정에 합격한 A급으로 하고, 무늬유리는 KSL2005규정 에 합격한 품질로 한다

2) 유리의 내풍압성, 단열성, 내열성등을 고려 적정 종류, 적정 두께를 검토한다.

3) 판유리 절단은 창호의 유리홈안까지의 치수보다 위, 밑, 옆을 1.5~2㎜짧게하여

정확히 절단해야 한다.

4) 준공시까지 파손방지를 위해 종이등으로 보양후 󰡒파손주의󰡓표시한다.

5) 외부유리는 맑은 유리로 하고, 내부무늬유리는 평활면을 외부로 한다.

6) 유리 절단시 바람 구멍없이 정확히 절단한다.

7) 시공 부주의로 선행공정 파손에 유의 한다.(특히, 모노륨및 도배지)

8) 유리 끼울때 유리외 금속재 SASH의 직접 접촉을 금한다.

9) PUTTY의 시공상태를 점검한다.

-. 보수곤란부위, 하중이 큰곳은 탄성 SEALANT사용

-. SEALING재 및 BACK-UP재의 상태

10) 시공후 유리면 청소가 불가능할 경우는 설치전 유리청소 완료후 설치한다.

11) 유리 시공방법의 사전검토 및 확정 (장비사용 또는 비계이용)

 

 

 

 

 

 

 

 

 

복 층 유 리

 

 

 

1. 규 격

FLOAT 유리(T6)+AIR SPACE(T6)+FLOAT 유리(T6) 기준으로 도면 및 특기시방서에 준한다.

 

2. 제 작

1) 열선반사유리의 접착전 COATING 면에 흠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AIR SPACE 의 습기에 의한 내부결로가 생겨서는 안된다.

3) AL. SPACER와 판유리 사이의 접착시 AL. SPACER 외측 전면을 SEALANT 로 접착하여 외기를

차단한다.

4) 마구리 부분은 THIOKOL SEALANT 로 외기차단 및 모서리를 보호한다.

5) AL. SPACER의 건조제(SILICAGLE) 주입후 흘러나와서는 안된다.

6) 제작전 실측하여 무리한 끼우기 사례가 없도록 한다.

7) 배면판 설치부의 열파손 가능성을 검토하여 반강화 유리적용여부를 결정한다. (설계변경)

 

3. 유리끼우기

1) AL. CURTAIN WALL 의 미세한 오차를 수용, 영상의 흐트러짐이 없도록 한다.

2) 유리 끼우기 시행시 가장자리의 흠으로 인한 내부결로에 유의한다.

3) SETTING BLOCK 은 최소길이 (50㎜), 폭 (29㎜), 두께 (10㎜) 내외로 한다.

4) SEALING 깊이는 (6㎜), 마무리면 구배는 (6㎜) 이상으로 한다.

5) 유기물질로 오염된 경우 아세톤, 톨루엔으로 닦은후 즉시 청결수로 닦는다.

6) 청소에 중성세제를 사용할 시 나중에 물로 충분히 닦아준다.

7) SEALANT 의 경화완료시 까지 충분히 양생한다.

도 장 공 사

 

1. 도료의 종류 색깔과 도장범위를 확인한다.

 

2. 각종 도료는 K.S 합격품으로 시공하여야 하며 초벌, 재벌, 정벌 재료는 동일제조업자 제품

을 사용토록 한다.

 

3. 각종 도료 및 색상은 당사가 지정하며 현장배합은 허용되지 않고 공장배합만 허용된다.

다만, 소량인 경우 당사의 승인을 득한후 현장배합 할 수 있다.

 

4. 바름 횟수의 준수 확인및 불투명 도장은 차례로 색을 진하게 하여 구분한다.

 

5. 제조사에서 제조된 도료에 대해서는 회석재 이외의 어떠한 물질의 첨가도 허용되지 않는다.

 

6. 미승인 재료의 사용은 허용되지 않고 자재보관은 제조일별로 습기및 화기의 위험성이 없고

직사 일광이 쪼이지 않는곳에 저장하도록 한다.

 

7. 작업전 타공종의 시공부분을 위한 보양조치를 취하여야 하고, 페인트 흐름 등으로 인한 오

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8. 바탕 처리

1) 목부바탕은 다음표의 공정에 의하여 시공한다.

공 정

면 처 리

오 염 부 착 물

송진제거의처리

연 마 지 닦 기

옹 이 땜

구 멍 땜

오염및 부착물을 제거한다.

송진은 긁어내기, 인두지짐 또는 휘발류로 닦음.

대패자국, 엇거스름, 찍힘등은 #120연마지로 닦음

옹이 및 그 주위에 니스로 2회 솔질한다.

갈라짐, 구멍, 틈서리, 우묵한 곳은 퍼티로 땜질함.

 

 

 

 

2) 몰탈바탕 처리는 다음표에 의하여 시공한다.

공 정

면 처 리

건 조

부착물 제거

구멍 메우기

연마지 닦기

방치하여 충분히 건조시킨다.

부착물을 떨어낸다.

크랙 및 흠집을 퍼티로 때운다.

#120 연마지로 닦는다.

3) 철부바탕 처리는 다음표에 의하여 시공한다.

공 정

면 처 리

오염부착물제거

유 류 제 거

녹 떨 기

방 청

오염부착물을 와이어 부러쉬로 떨어낸다.

휘발유로 닦는다.

#120 연마지 또는 와이어부러쉬로 떨어낸다.

방청 페인트를 2회 바른다.

※ 방청페인트를 바른후 48시간 이상 건조기간을 둘것.

4) PUTTY 작업후에는 반드시 SAND PAPER 등으로 면갈기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5) 석고보드 등 건식벽체의 JOINT 부위는 집섬테이프 부착을 한 후 퍼티작업과 SAND

PAPER 연마작업을 실시하여 JOINT 면의 CRACK 방지 및 평활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9. 칠하기

1) 1회 바름 두께가 너무 두껍지 않도록 시공한다.

-. 유성 락카 35㎛, 에나멜계 25㎛

-. 락카계 15㎛정도

2) 도료는 잘 저어서 사용하고, 이물질, 침전물등을 제거후 사용한다.

3) 초벌칠이 완전히 건조된 후 다음칠을 시공토록 한다.

4) 뿜칠거리는 30㎝ 뿜칠너비는 1/3이상 겹치도록 하고, 보호조치를 철저히 한다.

5) 칠한 후 도막의 터짐, 박리, 얼룩, 두께등을 점검한다.

6) 각 도료에 대한 횟수는 다음과 같다.

 

 

 

 

 

 

 

 

 

《 도장 횟수 》

바 탕

종 류

색 상

횟수, 도장방법

비 고

목 부

바 니 스

유성페인트

착색1+우레탄락카5회

유색 락카

지정색

지정색

지정색

지정색

3붓

3붓

5붓

7붓

 

하도 1회

상도 2회

상도 5회

상도 7회

철 부

광 명 단

유성페인트

지정색

2붓

3붓

 

하도 1회

상도 2회

시멘트몰탈

및 치장

콘크리트

내부

내 부 용

수성페인트

지정색

3붓

로라및 붓

 

외부

외 부 용

수성페인트

지정색

3붓

로라및 붓

 

무 늬 코 트

내 부 용

지정색

접 착 제 1회

색상뿜칠 1회

코 팅 1회

로라및 붓

스프레이

로라및 붓

10. 본타일

1) 일반용

1.1) 백시멘트 규사에 각종 첨가제를 혼합한 무기질의 MASTIC POWDER를

요철상에 취부하여 표면을 아크릴수지 도료로 마감하는 공법이다.

1.2) 시공의 공정은 하도, 중도, 상도의 공정으로 분류 접착성, 내수성, 내알칼

리성 등 내구성이 좋아야 한다.

1.3) 시공법

가) 기온, 천후상태 파악및 사용기구를 점검한다. ( 5℃이하시 시공 금지 )

나) 시공구체면은 최소 15일간 살수 양생하고, 도장면 5일간 건조한 후

시공에 착수해야 한다.

다) 구체면의 균열및 들뜬 부분은 퍼티(Putty)로 보수해야 한다.

라) 시공이외 부분은 테이프및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 보호한다.

마) 시공은 하도, 중도, 상도로 나누어 시공한다.

*.하도-아크릴산 에스텔수지로 1차 도장하며, 1차 도장후 4시간 경과후 2차

도장 한다.

*.중도­①MASTIC POWDER로 하도(2회) 완료후 72시간 이내 뿜칠을 하여 본타

일 모양을 낸다.

 

②본타일 모양이 형성되는 누르기 작업을 하고, 표면을 곱게하여 이

물질 부착을 방지한다.

*.상도-아크릴 수지 도료와 신나를 1:1배합으로 로라 및 붓으로 2회 도장.

 

2) 에폭시본타일

2.1) 에폭시 본타일은 2액형으로 반죽상의 주제액, 액상의 경화제 및 분말제와 같이 희

석 교반시켜 반응, 경화 시키는 공법이다.

2.2) 시멘트 표면의 균열은 에폭시 퍼티를 사용 보수해야 한다.

2.3) 시공법

가) 하도 - 하도는 에폭시 수지에 희석된 프라이머를 고르게 도포한다.

(배합비 → 주제 : 경화제 2 : 1 )

나) 중도 - ①중도는 프라이머 시공 24~48시간후 시공한다.

②중도재는 에폭시 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할크, 카본, 규사,시멘트

등을 배합(주제:경화제=1:1)하여 일정하게 뿜칠을 한다.

③뿜칠 작업이 끝난후 표면 경화가 50%경화상태에서 로라에 중도재가

묻지 않도록 윤활재를 사용 타일모양을 매끄럽고 곱게 누르기 작업

한다.

다) 상도 - ①상도는 2회로 하며, 타일이 완전이 경화된 후(48시간이상)2액형의

포리우레탄 도료를 정확한 비율로 배합(주제:경화제=7:1)하여 1회

붓칠한다.(0.15~0.2㎏/㎡)

②상도2차는 4차 코팅 12시간후 붓칠을 하며(0.2~0.3㎏/㎡) 이때,

희석제는 50%를 넘지 않도록 한다.

 

 

내화피복․ 단열공사

 

1. 재료는 포장된 상태로 현장에 반입되어야 하며, 반입전에 사용제품의 시험성적표, 견본품,

제품별 소요 수량이 명기된 시방서 등을 접수하여 검토한다.

 

2. 반입재료는 반드시 수량확인을 하여 수시로 시공량과 사용량을 비교 검사한다.

 

3. 시공 부위의 표면에 녹, 먼지, 기름등의 오물을 제거하고 부착면에 물로 가볍게 뿜칠

청소한 다음 시공한다.

 

4. SPRAY 후 적당한 양생을 시켜야 되며, SPRAY 는 두께에 따라 2~3 차례 나누어 시공한다.

 

5. 일단 물에 의하여 응고된 재료는 사용할 수 없으며, 재료는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 관리

해야 한다.

 

6. 시공후 양생을 위하여 진동을 피해야 하며, 접착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양하여야 한다.

 

7. 모든 철골재의 내화피복제 코팅을 뿜칠후 양생 건조하여 특수 BINDER COATING으로 마감

처리하여 분진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8. 크립, 행거, 서포트, 스리브등은 미리 시공한 곳에만 뿜칠하여, DUCT, PIPE, CONDUIT 등은

내화피복뒤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9. 시공면의 시공전, 후 청소 및 보양을 철저히 시행하여 분진 발생을 방지하고 도포 완료후

허용치는 두께의 -2㎜ 이내로 한다.

 

10. 시공중 분진방지를 위한 보호막을 설치하여야 하며, 분진으로 인한 피해 및 민원 발생이

되지 않도록 사전 조치후 시공한다.

 

11. 기타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각 제품별 시방서에 준한다.

 

12. 공 법

- 습식

- 건식(코팅포함)

- 반습식

석 공 사

 

 

1. 석공사는 공사 착수전에 돌나누기 및 설치 시공도면(SHOP DWG.)을 접수하여 검토 승인한다.

 

2. 석재는 갈라짐, 금, 떨어짐 및 흠집 등의 결함이 없고 가공 마무리한 칫수에 부족이 생길

우려가 없는 것으로 한다.

 

3. 석재는 철분에 의한 녹물흐름이 없어야 하고 층별, 실별로 색상 및 문양이 동일하여야 한다.

 

4. 각종 긴결철물은 녹슬지 않는 STAINLESS STEEL 또는 동선 등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전에 SAMPLE을 접수하여 검토 승인한다.

 

5. 석재 재단시 절단면에 철분의 침투가 안되도록 하여야 하며, 줄눈의 넓이는 일정하며

직선을 유지하여야 한다.

 

6. 모든 보양은 적절히 시행하고 특히, 바닥은 청소 시행후 P.E 필름을 깔고 6㎜ 이상의 합판

을 사용 전면 보양한다.

 

7. 석재의 절단 가공은 공장에서 시행해야 하며, 부득이 현장 절단을 시행할 시에는 절단 치수

및 마감면 검사를 철저히 한다.

 

8. 석재는 도면상 형태에서 단부 및 모퉁이, 개구부, 스위치, 셔터레일, 후로어닥트 구멍등

의 주위를 절삭하여 시공한다. (전기, 설비 사전 검토)

 

9. 습기가 많이 발생하는 부분, 이질재료와의 접합부분 등 취약부분의 품질유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10. 노출되는 모든 면의 마감정도는 동일하여야 한다.

 

11. 줄눈 시공은 밀실하고 철저히하여 유입수로 인한 백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한다.

 

12. 줄눈 및 창호 주위 코킹 작업은 반드시 마스킹 테이핑 작업을 병행하여 석재의 오염을 방

지하고 코킹 LINE의 품질을 확보한다.

도 배 공 사

 

1. 바탕면은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야 한다.

1) 시공공법 명기 : 봉투바름 또는 찰바름

2) 도배공사 바탕면은 충분히 건조시키고 틈서리, 요철 등은 메우거나 샌드페이프 등으로

문질러 이물질 등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3) 바탕이 석고판일 경우 그 이음새를 폭 10㎝ 의 초배지로 2회 바름한다.

4) 노출된 철물제거 및 녹물방지 처리여부 확인.

 

2. 장판지 및 벽지의 품질은 아래 기준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1) 초배지는 감독원의 승인을 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2) 장판지는 (전주 6배지)로 재질이 균일하고 주름진 곳, 찢어진 곳, 구멍, 얼룩, 오염 등이

없어야 하고 모서리는 직각이어야 한다.

3) 장판지는 건성유를 충분히 먹이고 완전히 건조된 것으로 나쁜 냄새, 끈적거림 등이

없어야 한다.

4) 도배지의 품질은 현장의 별도조건에 준한다.

 

3. 도배지

1) 도배지 이음시 비닐발포지는 맞댄이음, 종이벽지는 겹침이음으로 한다.

2) 도배지는 종이의 크기에 따라 나누어 보고 색깔, 무늬에 맞추어 마름질한다.

3) 도배지 바르기는 풀을 고루 도포한 후 붙이고 솔, 헝겁 등으로 문질러 주름살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특히 갓 둘레 등은 밀착 시공하여야 한다.

4) 도배지를 시공한 후 작업자의 출입으로 인하여 도배지의 하자가 우려되는 돌출코너

부분은 바닥에서 1.8M 높이까지 초배지로 보양하여야 한다.

5) 도배지가 끝나는 부분(문틀, 반자돌림 기타)은 정교하게 시공하여 깨끗하게 마감되어야

한다.

6) 도배지에 하자가 발생하여 보수할 경우에는 단위실내에서는 색상의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7) 정배지는 수직, 수평과 무늬가 맞게 가장자리를 깨끗이 잘라 낸다.

4. 장판지

1) 장판지는 물 축이거나 풀칠하여 맞접어 일정시간 지난후 충분히 늘어난 다음 다시 고르게

풀칠하여 붙인 후 주름살, 들뜬 곳이 생기지 않도록 문질러 밀착시킨다.

2) 장판지의 이음은 겹침이음으로 하며, 겹침이음 부분의 폭은 40㎜ 이상으로 하고, 벽면에

치켜 올려 바름(굽도리) 폭은 50㎜로 한다.

3) 장판지 위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초배를 하여 보양한다.

5. 정배지 시공시 문틀, 문짝, 걸레받이, 반자돌림띠, 가구 기타 부분에 묻은 풀은 즉시

물걸레로 닦아내어 청결히 한다.

방 화․방 연 샷 터

 

1. 구조 : 모든 재질 및 성능은 건축법 및 한국공업규격(K.S 5537)에 적합하여야 하고,

전동개폐기는 샷터 박스안에 내장설치하고, 노출시는 안전관리에 완전를 기하도록

하여야 하며, 샷터 구동부는 체인 연결구동방식으로 하여 안전하고, 완전하게 작동이

되도록 하고, 화재발생시 연기 감지기에 화재가 감지되면 비상레버 전원으로 전동

제어되며, 자동폐쇄 되어야 하고, 정전시는 수동개폐가 가능하여야 한다.

2. 재료

1) SLAT : 냉간 압연 강판 1.6㎜ K.S 제품이어야 하며, SLAT에는 유해한 곡면 및 휨, 비틀림

흠집 등이 있으면 안된다.

2) GUIDE RAIL

가) 규격 : STEEL일 경우 냉간 압연 강판 STAINLESS일 경우 냉간 압연 스텐레스 강판

나) 사양 : 방화구획의 차연을 위한 형태로 제작되어야 하며, 샷터의 넓이에 따라 깊이는

75~90㎜로 한다.

3) 하단 마감재

가) 규격 : 2)-가)와 동일

나) 사양 : 샷터가 완전히 내려졌을 때 바닥과 완전히 밀착되어야 하며 유지 및 개폐

조작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완전한 물림 형태이어야 한다.

4) 샷터박스

가) 규격 :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

나) 사양 : 원형 또는 각형으로 제작하며, 샷터 상부의 전동 개폐기 및 기타 장착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샷터 박스에는 점검구를 설치하여

수시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5) 상부 마감재 (LINTEL)

가) 규격 : STEEL일 경우 냉간 압연 강판, SST일 경우 냉간 압연 스텐레스 강판

나) 사양 : 샷터 상부의 노출을 방지하고 마감상태를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몰딩간의

접합 디테일을 보강하고 샷터 개폐에 유해한 휨, 비틀림이 없어야 한다.

 

3. 규정 내화시간 및 내화성능 등이 소방서 기준치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ACCESS FLOOR 공사

 

 

1. FRAME TYPE (WOOD CORE 사용)

 

2. 마감재료 : 라미네이트 (정전방지용 타일) THK 2.0T

 

3. 상판의 규격은 (610×610×0.65) GAL PLATE

 

4. PANEL 과 FLAME 사이에는 소음방지 및 충격흡수를 위하여 CUSHION(고무) PAD를 BOND

접착시공

 

5. 출입구 부분은 현장여건에 따라 계단 또는 경사로를 설치한다.

 

6. 설치한 장소는 시공전 분진, 불순물 등을 완전제거하여 청결히 한다.

 

7. FLOOR 설치는 현장실측후 중심점으로부터 610간격으로 설치하며 기존바닥에 BOND 접착하고

지지대를 설치하고 후레임을 연결한다.

 

8. 설치후 PANEL의 수평, 수직 움직임등의 여부를 최종점검하여 외관상 FLOOR 설치가

미려하게 마무리한다.

 

9. ACCESS FLOOR 치수 허용오차는 2㎜ 이내로 한다.

 

10. 현장여건에 따라 하중에 견딜수 있도록 설계 설치한다.

 

11. FLOOR JUNCTION BOX 설치를 위한 절단작업 포함.

조 경 공 사

 

1. 식재 계획은 조경 식재 도면의 수종 및 수량 이상으로 한다.

 

2. 조경 면적은 허가 도면의 면적 이상을 확보한다.

 

3. 식재시기를 고려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동절기;식재금지, 하절기;15일이상살수)

 

4. 식재지에는 객토 하여야 하며, 객토용 토양은 부식질이 풍부하고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은

양토를 사용한다.

 

5. 운반 시 뿌리의 수형이 손상되지 않도록 철저한 보호조치를 하고 당일 식재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6. 식재한 후 물은 활착할 때 까지 주어야 하며 유해성분이 없는 하천물, 우물물 혹은 수돗물을

사용하여 수목 생장에 저해되는 물은 금지한다.

 

7. 현장에 반입되는 관목류 및 잔디는 설계규격 및 재령등 제품질 규정에 맞는 것이어야 하며

반드시 검수 하여야 한다.

 

8. 비탈면의 보호에 사용하는 때는 줄기 및 뿌리가 번성하여 흙이 많이 붙어 있어서 말라

죽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9. 평떼공은 다진 비탈면에 떼를 붙이고 표면에 두들겨 비탈면에 잘 밀착 시킨후 대나무

또는 버들가지 등을 떼 한 장에 적어도 2개이상 꽂아 떼의 탈락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는 평떼는 종횡 30㎝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10. 떼 붙이기는 호적기를 택하여야 필요에 따라 시공후 살수등의 적당한 방법을 하여 떼의

활착을 도모하여야 한다.

 

11. 조경토는 추후 침하를 고려하여 객토 한다.

사용검사 서류 및 확인사항

 

 

1. 건축물 사용승인 신청서

2. 사용승인 조사 및 검사조서 - 건축사도장 (감리건축사)

3. 허가의 경미한 변경사항 일괄신고 여부.(필요시 사전 설계변경허가 확인)

4. 사용승인관련 서류 일괄 확인표

- 정보․통신 사용전 검사 필증

- 소방 완공 필증

- 승강기 완성검사 필증 (카리프트, 기계식 주차 포함)

5. 건축허가조건 이행여부확인서 (필요시 사진첨부)

6. 품질․안전관리

- 품질시험검사이행(건설기술관리법 별표38, 39)

- KS 자재 및 인증자재 총괄표

- 의뢰․대행검사 시험성과표

- 안전점검 종합보고서 (안전기술관리업체)

7. 공개공지 관리카드 작성여부 (해당시)

8. 과밀부담금 납부확인 및 영수증 첨부 (해당시)

9. 미술장식품 설치대장 및 카드, 작가 설치확인서 (해당시)

10. 하수도 원인자 부담금 영수증 사본 (해당시)

11. 하자보수 보증금 예치증서 첨부 (공동주택)

12. 지적공부 변동사항 (분할, 합병등) 정리여부 (해당시)

13. 공사감리 중간, 완료 보고서

14. 민원사항처리 종결여부

15. 주차장 구획라인 표시 (사진첨부)

16. 부설주차장 관리대장 (사진첨부)

17. 훼손된 공공시설물 복구 및 주변정리 (맨홀청소, 공사잔재제거, 도로복구 완료사진)

18. 오수, 우수 중간검사 필증 (착공신고필증 확인)

19. 오수처리시설 및 단독정화조 설치확인서 (해당시)

20. 차량 출입시설 설치확인 (해당시 사진첨부)

21. 건축물 지번 표시판 설치 (지적과에서 표지판 수령, 사진첨부)

22. T.V. 난시청(수신장애) 민원해소 이행여부 (해당시)

23. 저지대 건출물내에 집수정 및 배수펌프 설치여부

24. 공공하수관 연결부 시공 전․중․후 사진첨부

25. 기존 건축물 멸실신고 처리여부확인 (지적과)

26. 폐기물처리 종결신고 (동사무소, 폐기물처리업체에 의뢰)

※ 상기 내용은 서울시 강남구청 건축과 기준이며, 시공현장의 입지조건 및 관할관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사용검사 서류 작성전 담당공무원과 협의하여야 한다.

( 특검 대상 여부 확인 )

※ 상기 내용은 감리(설계자 포함)와 시공사가 협조하여 작성되어야 하므로 사전 협의를

통하여 업무분담을 하여야 한다.

출처 : 건축공간창조
글쓴이 : GOODMAN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