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한번 정독 한번 해보세요...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25&articleId=583308
이글에 정보가 굉장히 많습니다.
아는만큼보인다고 해야할까요?
이글에는 부동산의 흐름과 대처방안이 모두 들어 있어요...
정독하신후에 아래글을 읽으시면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닥치고 현금 확보 시대 인건 아시죠?
대기업에 몰린 현금이 300조를 비롯해서
MMF등 단기성자금이 주식시장에 들어가지 않고 놀고 있습니다.
뭐 해외에서 지금 문제시 되는것이 유동성이 풀린만큼
투자가 되지않고 MMF에 자금이 몰려 있는 현상에 대해
MMF 규제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하고있다는 점 먼저 알려드리고요
향후 우리나라도 ..? 네...
일단 이런것에 대한 여러 사안을 생각해볼때
올해 경매대란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긴합니다.
물론 작년처럼 부채상환에 대한 자금 돌려 막기가 이뤄지겠지만
이런 자금상환에 대한 압박은 경매시장 상환후 6개월후부터 시작되는 강제경매로 볼때
내년상반기나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내후년 2014년까지 꾸준히 나올전망입니다.
제가 이랜드의 이야기를 하지요
쌀때사서 비싸게 판다..
표하나로 보는 부동산 시장의 중장기적 견해는
2014년 상환 비율8.7%에서 주춤하지만 2013년도 상환에 대한 압박이
작용하는 시점은 향후 6개월을 볼때...
2013년은 바닥을 거의 찍을 테세입니다.
문제는 여기서 지역입니다.
올해 인구유입이 파주가 2만 몇천으로 전국1위
그리고 서울의 인구 유출이 꾸준히 되고있고.,..향후 900만까지 떨어져야
도심 멸실화로 인한
도시재생사업단
이 역활이 대두되어 부동산이 상승할 소지가 있습니다.
각지역마다 장단이 있지요.. 모두가 하락하고 모두가 상승하는것이 아닌
지역적 특성에 따라 부동산 시장은 변화 합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야기하자면
양평을 비롯 동부지역은
수도권개발보호지역
북동쪽 파주 양주 남쪽 동탄이하 이 두지역은 향후 인구흡수를 위한 각종 물류와
기업유치그리고 인프라 도로 GTX 를 비롯한 각종 민자고속도로 추진..
수도권 개발계획에 대한 국토해양부 자료를 찾아보시면 정확하게 구분이 되어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인구가 유입되기 위해서는 일단
도로가 우선 지어지고 동시에 토지개발제한구역해제와 동시에 택지 분양
물류창고가 지어지고 기업의 인센티브를 적용하여 산업단지와 물류단지를 조성합니다.
동시에 아파와 같은 주거공간이 지어지고요
이게 10년에서 15년입니다.
2기 신도시의 시작과 현 상태 그리고 미래는 이런 기본적이 그림하에 시작되는것이죠..
위에 링크한 글을 몇번 되풀이 보신다면 그 그림과 지도속에 있는 모든것들이
엄청난 정보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시세차익이 아닌 실수요 목적인 신혼주부와 전세살이로 힘드신분들...
경공매시장에 참여하여 자신의 실주거공간을 만들 기회가 오고 있습니다.
시세차익을 바라는 예전의 투기형식말고 내 가족이 편히 쉴수 있는공간....
경매대란은 역전세사태를 불러오고 역전세사태는?
잘못하면 강제경매 임의경매로 넘어가는 dsr(부채상환비율)이 높은 집주인에게
딱... 좋은 먹이감이 될수 있으니 더욱 신중해야하며
전세자금에 대한 자산보존을 위해 월 2만원?선의 보험을 들고
자신의 자산을 지키기위한 여러 사안을 다시 체크해야할때입니다.
요즘 경매 물량 나온것도 많다고들 하는데 ...앞으로 2년간은 ...흘러 넘칩니다.
신용과 현금을 목숨처럼 생각하신 분들에게는 기회의 시기이고요...
부동산 폭락해야한다는거 주장하는게 중요한게 아닙니다.
막상 서민들의 전세금을 지킬 대안이나 향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하는
부동산에 대한 비관적시선이 자칫 어려운 서민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들수 있으니
말조심하고 그들에게 도움이 될 대안을 제시 못할것면
부동산 폭락이니 개지랄이니 하지말라는것입니다.
니깟것들이 서민들의 애환 그리고 삶을 대신해줄거 아니면말이죠...
쓰레기들 부동산 폭락론을 이용해 투자 유치하고 증권사이트만들고..
소송당하고 소송걸리는 아고라 대표논객들을 보고 잇자니
참 시벌 것들 참 가지가지로 돈 벌어 쳐먹는구나 생각이 듭니다.
전세가대비 매매가가 70~80선이되면
전세에서 자가로 움직이려는 움직임이 심화됩니다.
서울... 답없는 동네입니다. 이건 확실합니다.
언제 서울 부동산산다고요? 900만 수준이하 혹은 800만 후반대 인구가 되면
하락한 부동산을 사들여 다시 도시재생사업단이 새롭게 탈바꿈시킵니다.
이게 향후 몇십년의 작품계획이고...
부동산 1년 3년 5년 10년 을 내다보시고
내가 살 주거에 대해서는 가격이 하락하던 말던
요즘 새로짓는 아파트는 내구성이 50년이니
평생살집으로 ....
지방은 관망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알짜땅을 보는 10가지 방법 (0) | 2016.08.03 |
---|---|
[스크랩] 2012년 아파트 경매대란.역전세 사태 있을것..실수요자 필독 (0) | 2012.05.08 |
[스크랩] 시공사 책임준공만으로 PF 안될까? (0) | 2006.05.25 |